본문 바로가기

서울기업OJT프로젝트

#5. 서울산업진흥원 서울기업OJT프로젝트

4주차 - 서울기업 OJT 프로젝트 2기


1. 팀 활동

  중간발표 후 대표님의 피드백과 팀 회의를 바탕으로 추가로 필요한 자료 조사와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기획 · 제작하기로 하였습니다. 또, 팀에서 기획한 모집 전략과 타겟층, 이들을 위한 실행방안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모두 담는 페이지를 제작하고, 어떤 메시지를 언제 어떻게 표현할지 등 피피티 전반에 대한 구성에 대해 더 고민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저는 컨텐츠 마케팅 제작, 즉 실행 방안 부분을 맡았습니다.

 

2. 컨텐츠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은 직접적으로 자사의 브랜드나 제품, 서비스를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관심사나 고객이 궁금해할 정보들을 컨텐츠로 제작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마케팅 방법입니다. 

 

원티드 Wanted, 지인 추천 이직 플랫폼

 

  • 자사 공식 유튜브 채널 활용
  •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광고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연출
  • 동료편, 친구편, 선후배편, 신입편, 사장님편 등 유저들이 공감할 수 있는 상황을 유튜브 컨텐츠로 제작
  • 주요 고객층의 persona를 정립, 이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동영상 컨텐츠 제작

원티드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클릭 시 이동)

 

원티드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클릭 시 이동)

 

 

레드불 Red Bull, 익스트림 스포츠 컨텐츠 후원 · 제작

  • 공식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자사의 제품에 대해서 이야기하지 않고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뉴스 컨텐츠를 업로드
  • 각종 익스트림 스포츠 이벤트와 선수들을 후원하고 새로운 소식을 중계
  • 레드불을 마시는 모든 사람들이 익스트림 스포츠를 직접 즐기진 않겠지만, 상당수가 익스트림 스포츠를 관람한다는 고객의 심리를 활용한 마케팅
  • 모든 미디어를 동원하여 고객의 관심사를 컨텐츠로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진심으로 고객을 생각하는 노력을 표현하는 방법

 

레드불 공식 유튜브 채널들
레드불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클릭 시 이동)

 

 

2. 셀레더를 위한 컨텐츠 마케팅

  셀레더 세 타겟층(모바일 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예비 쇼호스트,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커리어 개발을 원하는 판매서비스직 실업자들, 제품 마케팅 실무 경험을 해보고 싶은 대학생 · 취준생들) 중에서 제품 마케팅 실무 경험을 쌓고 싶어하는 대학생 · 취준생들을 타겟으로 하는 실무경험 랜선취준을 컨텐츠로 제작하고자 하였습니다. 

출처 잡코리아 x 알바몬 설문 조사 결과(클릭 시 이동)
출처 잡코리아 x 알바몬 설문 조사 결과(클릭 시 이동)

  실무경험 랜선취준을 컨텐츠로 제작하고자 하는 이유는 코로나19의 장기적 대확산의 영향으로 취준생들이 오프라인 취업활동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취업준비 활동을 위해 주로 온라인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각 기업의 계열사마다 젊은 신입 직원을 주인공으로 하는 직장인 브이로그와 현직자 직무 인터뷰 영상을 제작하고, 취준생들이 직접 자신의 취업 과정을 브이로그로 담아 개인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게시하고 비슷한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댓글을 통해 소통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무료로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 면접, 자기소개서 팁, 현직자 인터뷰 등에 취준에 필요한 정보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컨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버들도 많습니다. 

  취준생들의 반응은 "비싼 인터넷 강의보다 5분 정도의 짧은 무료 유튜브 영상을 보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쉬는 시간에 현직자의 직장생활이 담긴 브이로그를 본다.", "직장인 유튜브를 보며 다시 힘을 낸다."라는 반응이었습니다(출처 : news.joins.com/article/23609580). 

  랜선취준은 취준비용절감에도 큰 효과가 있습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오프라인만을 활용해 취업준비를 하는 경우 월 평균 33만5천원(335,833원)을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온라인으로만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들은 월 평균 22만2천원(222,778원)으로 11만3천원 약 3분의 1이 절감된 비용을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취준을 병행하는 경우에도 월 27만6천원을 지출, 온라인 취준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월 평균 6만원 가까운 비용을 덜 지출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랜선취준은 취업준비를 위한 비용 절감 효과와 편리성, 온라인을 통한 소통을 강점으로 비대면 시대에 더 확산되고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